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송찬욱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국민의힘이 여당이 된 지 석 달도 안 돼서 지도부가 사실상 와해가 됐어요?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는 거죠? <br> <br>권성동 원내대표가 대표 직무대행 역할을 내려놓을 것이라고 오늘 선언을 했죠. <br> <br>이게 국민의힘 지도부, 그러니까 최고위원회가 붕괴됐다는 의미로 여권은 받아들이고 있습니다. <br><br>징계 중인 이준석 대표는 회의를 주재할 권한이 없고, 직무대행인 권 원내대표도 권한을 포기한 것입니다. <br> <br>당 지도부의 기능이 마비가 된 만큼 이를 대체할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할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됐습니다. <br> <br>다만 권 원내대표의 당 대표 직무대행 딱지가 없어지는 건 아닙니다. <br> <br>직무대행을 그만두려면 원내대표직도 물러나야 한다는 게 당의 해석이고요, 직무대행으로 역할을 안 하고 비대위로 전환을 차질 없이 하겠다는 정치적 선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Q. 비대위 전환 요건을 두고, 9명의 지도부 중 총사퇴냐, 9명 중 과반인 5명 사퇴냐, 아니면 선출직 6명 중 4명 사퇴냐, 참 복잡한 얘기가 오갔잖아요. 비대위 구성에 문제는 없는겁니까? <br> <br>이제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국민의힘 당헌을 보면 당 대표가 궐위되거나 최고위원회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 당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대위를 둘 수 있다고 돼있습니다.<br><br>여권 관계자는 "당 대표는 자리를 비웠고 직무대행은 리더십을 잃었고 최고위원은 줄줄이 사퇴하는 지금이 바로 비상 상황"이라며 "정치는 숫자로 하는 게 아니다"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Q. 지난주에 권성동 원내대표와 윤석열 대통령의 문자메시지가 공개돼서 혼란 상황이 가중된 거잖아요? 그런데 권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는 것은 아니죠? <br> <br>최고위가 와해된 만큼 비대위 구성을 위한 절차에 있어서는 권 원내대표가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다만 권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직도 내려놓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김태흠 충남지사는 오늘 권 원내대표를 향해 사심과 무능한 드러냈다며 "지금 당장 모든 직을 내려놓으라"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Q. 오늘 조수진 의원도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면서 비슷한 얘기를 하지 않았나요? <br> <br>대통령실을 포함해 이른바 '윤핵관', 당의 윤 대통령 핵심 측근들의 2선 퇴진을 촉구했는데요. <br> <br>[조수진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이른바 '윤핵관'이라 불리는 선배들도 총체적 복합 위기의 근본적 원인을 깊이 성찰해주십시오. 정권교체를 해냈다는 긍지와 자부심은 간직하되 실질적인 2선으로 모두 물러나 주십시오." <br> <br>윤 대통령이 휴가 복귀 후 인적 쇄신에 나설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Q. 윤핵관 얘기도 해보면, 이번에 리더십에 상처를 입은 권성동 원내대표와 함께 장제원 의원이 대표적으로 꼽히지 않나요? 장 의원은 이번 국면에서 비교적 조용한 것 같은데요. <br> <br>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는 장제원 의원, 최근 국회에서 취재진을 만나도 당내 상황에 대한 언급은 자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장제원 / 국민의힘 의원 (지난 29일)] <br>"(초선 의원들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성명서 낼 거라고 하는데…) 초선 의원한테 물어봐야죠. (비대위 체제 전환 관련해서는 어떤 의견이신지 궁금하거든요?) 왜 그래요." <br> <br>다만 이준석 대표가 SNS를 통해 비대위 전환 배후로 장 의원을 정조준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이 대표는 오늘 SNS에 "당권의 탐욕에 제정신을 못 차리는 나즈굴과 골룸"이라며 "국민들이 다 보는데 'my precious'나 계속 외치고 다녀라"고 적었는데요. <br> <br>영화 '반지의 제왕'에서 나즈굴은 암흑의 군주 '사우론'에게 받은 반지의 힘으로 인해 타락한 캐릭터이고, 골룸은 반지의 유혹에 휘둘려 반지에 집착하는 괴물이 된 캐릭터입니다.<br> <br>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자신을 물러나게 하고 당권을 잡으려는 장 의원과 안철수 의원을 골룸으로 지목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마지막으로 시청자 질문인데요. 비대위원장은 누구의 권한으로 뽑게 될지, 비대위로 전환이 되면 이준석 대표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질문입니다. <br> <br>당헌을 보면 비상대책위원장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서 이준석 대표가 임명하게 돼있습니다. <br><br>이 대표와 가까운 김용태 최고위원은 "당헌당규를 아무리 살펴보아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아무런 명분도 근거도 찾아볼 수 없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<br>'비대위원장은 당 대표 또는 권한대행이 임명한다'는 국민의힘 당헌 96조 3항을 근거로 들었는데요. <br> <br>이 때문에 국민의힘에서는 당헌 개정 과정을 거쳐서 이 대표 없이도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비대위 체제 전환 과정에서 권한을 침해당했다면서 이 대표가 법적 대응에 나설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이 대표는 현재 전국을 순회하면서 당원들을 만나고 있는데 비대위 전환 절차를 지켜보며 대응 수위를 정할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송찬욱 기자였습니다.